강직성 척추염



강직성 척추염란 무엇인가요?


강직성 척추염은 골반의 천장 관절과 척추뼈를 주로 침범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입니다. 

천장 관절과 척추의 염증이 적절히 치료되지 못할 경우 그 부위가 뻣뻣하게 굳어 움직임의 제한이 오게 되는데 여기서 강직성 척추염이란 이름이 유래되었습니다. 

흔히들 강직성 척추염은 골반, 허리에만 염증이 생기는 것으로 알고 계시지만, 실제로는 무릎, 발목, 손목 등의 관절부위에 관절염이 생기기도 하고 발뒤꿈치, 발바닥에 염증이 생기기도 합니다. 또한 관절이 아닌 부위, 안구, 폐, 심장 등에도 염증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강직성 척추염의 원인


류마티스 질환 특성상, 원인은 아직 불분명합니다. 

다만, 조직형과 관련한 HLA-B27이라는 유전자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실제 강직성 척추염 환자의 90%에서 이 HLA-B27 유전자가 양성으로 나타나며 가족 중에 강직성 척추염 환자가 있고 HLA-B27 유전자를 갖고 있는 경우 강직성 척추염의 발생 위험이 증가하게 됩니다. 그러나 HLA-B27은 정상인에서도 약 5%에서 발견되기 때문에 이 유전자가 강직성 척추염 발생을 모두 설명해주진 않습니다. 세균 감염, 외상, 과로와 같은 환경적인 요소도 질병 발생에 관여할 것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강직성 척추염의 증상


증상을 살펴보면, 허리의 통증은 거의 모든 환자에게서 나타납니다.

오랜 기간을 두고 조금씩 아프기 시작하고, 주로 잠을 자고 난 아침에 허리가 뻣뻣하면서 통증이 있는데 심하면 잠을 자다가 허리가 아파서 깨어나는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일어나서 활동을 하게 되면 자기도 모르게 통증이 사라지거나 약해지는데 이것은 강직성 척추염에서 볼 수 있는 특징입니다. 

병이 심해지게 되면 통증을 느끼는 부위가 허리에서 더 위쪽으로 옮겨갈 수도 있습니다.

치료를 잘 하지 않아 병이 심해지면 척추뼈의 사이사이의 관절이 굳어지고 모양이 이상해져서 상체와 목이 앞으로 굽게 되고 목이나 허리의 움직임이 둔해질 수도 있습니다.

척추 이외에도 한쪽 다리의 큰 관절(예, 무릎)이 붓거나 아프고, 발 뒤꿈치, 갈비뼈에 통증이 생기고 누르면 아픈 것이 더 심해집니다. 

그 외 포도막염 때문에 눈이 충혈되거나, 통증, 시력에 장애가 생길 수 있으며, 일부 환자에서 혈뇨, 소장과 대장의 염증, 그리고 심장의 대동맥 판막 부전증이나 부정맥이 생길 수 있으며, 드물게 폐에 섬유질이 끼게 되어 기침이나 호흡곤란을 일키는 경우가 있습니다.



강직성 척추염의 진단과 치료


  강직성 척추염의 진단/검사  

강직성 척추염의 특징적인 척추증상인 염증성 허리통증으로 이 질환을 의심할 수 있고, 관절의 운동범위를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몇 가지 검사를 통해 진단하게 됩니다.

또한 X-ray촬영 상 천장관절염에 해당되는 징후를 확인하여 진단할 수 있는데 초기에는 이상증세가 발견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염증의 정도를 평가하는 혈액검사를 시행하여 그 수치가 증가되어 있는 경우를 확인하게 됩니다.


  강직성 척추염의 치료  

강직성 척추염은 약물요법과 운동요법을 함께 시행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으며 꾸준한 치료를 통해 정상적인 생활에 큰 문제가 없도록 할 수 있습니다. 

강직성 척추염 치료에는 주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와 항류마티스 약제 등을 복용하게 됩니다.

운동은 환자의 유연성을 유지하고 척추 변형 방지를 위한 기본적인 방법입니다.

허리 관절의 유연성을 유지하기 위한 체조와 스트레칭을 꾸준히 하고 허리와 목을 강화시키는 운동을 통해 자세를 유지하고 뻣뻣함을 줄일 수 있습니다. 

유산소 운동은 흉곽 운동을 유연하게 유지하는데 필요하므로 꾸준히 할 필요가 있습니다. 

뻣뻣함 때문에 운동하는 것이 힘들 경우에는 따뜻한 물로 샤워하여 관절과 근육을 이완시킨 다음 운동을 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강직성 척추염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척추가 대나무처럼 연결되는 강직을 초래할 수 있게 됩니다. 

강직성 척추염의 발병은 예방할 수 없지만 조기진단과 조기치료를 통해 발병 후 척추 강직, 골격 변형 등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